css 속성 우선순위
https://beautifulcss.com/archives/203
.myClass {
├── 객체의 노출여부와 표현방식
│ ├── display
│ └── list-style
│
├── 위치와 좌표
│ ├── position
│ ├── float
│ └── clear
│
├── 크기와 여백
│ ├── width / height
│ └── padding / margin
│
├── 윤곽과 배경
│ └── border / background
│
├── 글자와 정렬
│ ├── corlor / font
│ ├── text-decoration
│ ├── text-align / vertical-align
│ └── white-space
│
└── 내용
└── content
- const posts = dummy.posts || []; 에서 '|| []' 는 왜 쓰인거야
-> || 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가 falsy한 값인 경우에만 오른쪽 피연산자를 반환합니다. Falsy한 값이란, false, null, undefined, 0, NaN, ''(빈 문자열) 입니다.
따라서, dummy.posts가 존재하지 않거나, dummy.posts가 falsy한 값인 경우에는 posts 변수에 빈 배열([])이 할당됩니다. 이를 통해, dummy.posts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코드가 오류 없이 실행되도록 보장합니다.
만약 dummy.posts가 존재하고, truthy한 값이라면 posts 변수에 dummy.posts가 할당됩니다. 이렇게 하면 dummy.posts가 존재하는 경우, 해당 값을 posts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*컴포넌트가 렌더링 되는 거랑 마운트 되는거랑 뭐가 다른거야
->컴포넌트가 렌더링(rendering)되는 것과 마운트(mounting)되는 것은 리액트 컴포넌트 라이프사이클 메서드(lifecycle method)의 두 단계입니다.
렌더링은 컴포넌트의 데이터(state or props)가 변경될 때마다 발생하는 과정으로, 컴포넌트의 render() 메서드가 호출되어 가상 DOM을 생성하고, 실제 DOM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입니다. 이 단계에서는 컴포넌트가 화면에 표시됩니다.
반면, 마운트는 컴포넌트가 최초로 실제 DOM에 추가되는 과정으로, constructor() -> getDerivedStateFromProps() -> render() -> componentDidMount() 메서드가 순차적으로 호출됩니다. 이 단계에서는 컴포넌트가 생성되고, 초기화되며, 실제 DOM에 삽입되어 화면에 표시됩니다.
따라서 렌더링은 데이터 변경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고, 마운트는 최초에 한번만 발생하는 과정입니다.
*react 컴포넌트 생명주기
컴포넌트 마운트 -> 컴포넌트업데이트(props, state) -> 컴포넌트 언마운트
'프론트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itnee] - 경로 오류 (0) | 2025.01.15 |
---|---|
차세대 자바스크립트 (0) | 2023.04.27 |
랜딩페이지란? (0) | 2023.04.07 |
Fetch 와 Axios 어떤걸 써야될까? (0) | 2023.03.29 |
[react]리액트 (0) | 2023.02.15 |